fnctId=ewhaNewsResearch,fnctNo=8
-
본교 연구진, 2023 개인기초연구 신규과제 선정
- 2023-03-10 10:09:27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자율과 창의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및 인재양성'이라는 국정과제에 따라 전략적 기초연구 투자를 확대하기로 한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3년도 개인기초연구 신규과제 에 다수의 본교 교수진이 선정됐다.세계 수준 연구성과 창출의 밑거름,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연구자의 우수한 기초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리더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중견 연구자 지원사업 에는 본교 윤정호 교수(수학과), 오억수 교수(생명과학전공), 박진병 교수(식품생명공학전공), 민배현 교수(기후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가 선정됐다.(왼쪽부터) 윤정호, 오억수, 박진병, 민배현 교수윤정호 교수는 비 다항함수에 의한 대용량, 불연속 및 불규칙 데이터 근사 기법과 응용 로 자연과학 분야 후속 과제에 선정되어 향후 3년간 2억8천여만 원을 지원받아 연구를 수행한다. 오억수 교수는 위치 특이적 조절기전에 의한 염증성 대장 질환 제어기전 연구 로 생명과학단 후속 과제에 선정되어 향후 4년간 7억9천여만 원을 지원받으며, 박진병 교수도 지방산과 지방산 감응 수용체 및 조절인자의 상호작용 규명을 통한 지방산 유래 고부가 식품/바이오신소재 개발 로 생명과학단 후속 과제에 선정되어 3년간 7억5천여만 원을 지원받는다. 또한 민배현 교수는 고도화된 심층학습 기반의 의사결정지원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한 co₂ 지중저장 시스템의 최적 설계 로 ict 융합연구단 신진후속 과제에 선정되어 향후 4년간 7억9천여만 원을 지원받아 연구를 수행한다.본교 77명의 교수진이 이공분야 중견연구자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2023년도 신규 과제에도 다수의 교수진이 선정되며 세계 수준의 성과 창출을 위한 창의 연구를 수행하게 됐다.미래 유망 기초연구 발굴, 우수신진연구 생애첫연구 지원사업젊은 연구자들의 연구 수행을 지원하여 핵심 과학 기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우수신진연구 에는 곽철광 교수(수학과), 오양균 교수(생명과학전공), 김선애 교수... -
컴퓨터공학과 학부생팀 연구성과
게재 - 2023-03-03 14:42:08
기수민 변규리 씨,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통해 연구 수행실시간 시스템 배터리 소모량 71.5% 줄이는 성과 도출컴퓨터공학과의 학부생 캡스톤 디자인 결과물이 최상위급 국제학술지에 게재되는 성과를 얻었다. 기수민 씨(뇌인지과학과/컴퓨터공학과 복수전공)와 변규리 씨(컴퓨터공학과)는 지난 1년간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로 모바일 실시간 시스템의 데드라인 조건을 충족하면서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배터리 소모량을 71.5% 줄이는 성과를 도출했으며, 해당 연구결과는 컴퓨터사이언스분야 상위 2%인 저명학술지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에 게재됐다. 게재">변규리, 기수민 씨최근 무인 항공기, 자율주행 자동차 등 모바일 기반 실시간 시스템이 늘어남에 따라 각 태스크들을 반드시 정해진 데드라인 안에 처리하면서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것이 시스템 설계의 중요한 미션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교 학부생 연구팀은 cpu의 처리 속도를 조절하는 동적 전압 조절 기술과 저전력 메모리를 이용한 태스크 배치 기술, 그리고 태스크를 원격의 엣지 서버에서 실행하는 오프로딩 기술 등 서로 다른 계층에서 연구되던 기술들을 단일 척도로 모델링하고 그 연관 관계를 최적화했다. 이들 기술들은 서로 영향을 끼치고 있음에도 지금까지 별도로 연구되어 왔으며, 기존 연구들은 태스크 수준의 데드라인보다는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지연시간 보장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연구팀은 3종의 기술을 함께 적용했을 때 cpu, 메모리, 네트워크 장치를 아우르는 전체 시스템 경로에서 실행시간 및 에너지 효과의 상관관계를 정교하게 모델링하고 이에 기반해서 모든 태스크의 데드라인을 만족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스케줄링 기술을 개발했다. 또한 해당 모델링을 통해 네트워크 환경 및 컴퓨팅 자원의 상황 변화에 맞게 스케줄링이 즉각 반영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본 연구를 담은 논문 「co-optimizing cpu voltage, memory placement, and task o... -
이화, 창업문화를 선도하다
- 2023-01-17 10:16:47
창업지원 창업교육 기술창업 인프라 구축하고 이화형 산학협력 창업지원 혁신에 드라이브 걸다 이화비전 2030+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창의연구 교육혁신 등을 통해 지속가능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 혁신 플랫폼 으로서 역할하고자 하는 본교의 행보에 발맞춰, 연구처/산학협력단(처장 이향숙)은 산 학 연 협력 혁신성장을 통해 대학의 연구와 기술의 가치를 제고함으로써 창의연구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그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창업지원단 확대 개편하고 창업교육 지원 보육 단계별 맞춤 지원본교는 창업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내 창업문화 확산을 도모하고자 2023년 1월 산학협력단 산하 창업보육센터를 창업지원단 으로 확대 개편했다.산학협력관 | 산학협력관 내 드림업 스페이스 | 캠퍼스타운 ucu 라운지최근 창업 시장의 화두는 기술사업화 로, 실제 연구성과 특허 등 기술력을 중심으로 하는 실험실창업이 아이디어창업에 비해 고용 창출, 기업 생존률 등 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만큼, 올해 확대 개편된 창업지원단은 (예비)창업 수요 및 창업 지원 요구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응대하고, 창업교육 창업지원 창업보육 단계별 맞춤 지원을 강화하며, 대 내외 창업기관과 기술창업 발굴 및 창업 사업화 지원 협력체계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본교는 창업 교과 비교과를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창업교육을 제공하며 대학 창업문화 확산을 이끌어 가고 있다. 창업 교과 프로그램으로는 기업가정신 연계전공, 창업교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청년 세대의 창업에 대한 관심으로 기업가정신 연계전공 누적 신청자는 153명(2022 현재)에 이른다. 또한 대학 내 창업교육 및 창업 성과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기업가센터는 신규 창업교과목 개설에 힘써, 2021년 29개 교과목에서 2022년 60개 과목 2,561명이 수강하며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기업가정신, 창업 역량 함양을 위해 2022 신규 telos 트랙으로 ai 융합창업 트랙 을 개설... -
‘2022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에 인문사회 분야 2건 선정
- 2022-12-23 11:54:42
미술사학과 장남원 교수, 글로벌한국학전공 노상호 교수 연구과제 교육부 학술연구지원 우수성과 선정 및 시상교육부가 선정하는 2022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 에 인문사회 한국학 분야 2건의 연구과제가 선정됐다. 본교는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2년 연속 인문사회 국내논문 당 피인용 부분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이번 우수성과 선정으로 그 수월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교육부는 창의적 지식 창출을 견인하고 균형 있는 학문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학술 연구지원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교육부가 지원한 학술 연구지원사업의 성과물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거쳐 학술 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 을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2021년 1만 2천여 건의 과제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거쳐 최종 50건의 우수성과를 선정했다.본교 미술사학과 장남원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수행한 한국문화연구원 물질문화연구팀의 조선시대 공예 db 구축과 해제 과제가 인문사회 분야 우수성과에, 글로벌한국학전공 노상호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수행한 한국 근세의 자연관찰자들 과제가 한국학 분야 우수성과에 이름을 올렸다. 수상자에게는 국가 연구과제 신규 선정 절차에 가점이 주어진다.우수성과로 선정된 조선시대 공예 db 구축과 해제 는 조선의 공예문화에 관한 문헌 및 유물자료를 집성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해 조선시대 물질문화를 조망하고 자료의 접근성을 높여 대중적으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db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다. 2019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순수학문연구형(db구축) 과제로 선정되었으며, 현재 2단계 1차년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팀에서는 방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축적 운영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자료 입력기 프로그램을 개발해 연구에 활용했으며, 이러한 체계적인 자료 집성 및 운영 방식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연구책임자 장남원 교수는 우수성과로 선정될 수 있었던 역량으로 연구팀의 팀워크로 꼽으며 연구주제를 발굴하고 심화하고자 하는 연구팀의 학... -
약학과 이혁진 교수, 2022년 국가연구개발 100선 중 최우수성과로 선정
- 2022-11-11 09:38:29
본교 약학과 이혁진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2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중 최우수성과 12선에 선정됐다.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은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국민 공감대를 확산하고자 2006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로 17년째를 맞이했다. 정부지원을 받아 수행한 약 7만 5천여 연구개발 과제 중 총 852건의 후보성과를 대상으로, 산 학 연 전문가 100명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평가 및 대국민 공개검증을 거쳐 6개 분야에서 최종 100건의 우수성과가 선정됐다. 100선의 우수성과 중에는 6개 분야에서 2건씩 총 12건의 최우수성과가 포함됐다. 이혁진 교수의 세포 표적 전달이 가능한 고효율 rna 약물전달체 개발 성과는 코로나 19를 비롯해 다양한 감염병과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물질을 효과적으로 체내에 전달하는 지질나노입자(lnp) 개발 기술이다. 세계적인 제약회사 화이자와 모더나가 mrna 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백신을 1년 만에 만들어내며, 이 기술의 안전성과 효능이 전 세계에 알려진바 있다. 이혁진 교수는 국내에서 최초로 이온화 지질 발굴 및 지질나노입자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이에 따라 지질나노입자를 활용한 세포 표적 리보핵산(rna) 약물 전달 플랫폼 확보 및 mrna 백신 전달체로의 활용이 가능해졌다. 연구 성과를 통해 앞으로 rna 치료제 및 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하고, 기존 감염병을 넘어선 미지의 질병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대응하는 mrna-lnp 플랫폼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지질나노입자 플랫폼의 국산화를 통해 치료제 주권을 확보할 수 있어 이번 연구성과의 의의가 매우 크다. 2012년에 이화여대 약학대학에 부임한 이혁진 교수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약물을 안전하게 체내로 전달해 주는 물질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제1회 임성기연구자상 젊은연구자상을 수상한바 있다. 또한 기업 기관과의 공... -
최선 교수 국제공동연구팀, 세계 최초로 아데노신 A2A 수용체 뉴클레오사이드 길항제 개발 및 고해상도 3D 복합구조 규명
- 2022-10-14 10:34:29
면역항암제 신약 개발 가능성 확대세계적 학술지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표지논문 선정 약학대학 최선 교수 국제공동연구팀이 생체내 신호전달에 중요한 약물표적 세포막단백질인 아데노신 a2a 수용체(이하 a2aar)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뉴클레오사이드 길항제(antagonist)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해당 길항제가 a2a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된 복합체의 고해상도 3차원 구조를 규명했다. 또한,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복합체의 3d 다이내믹스 및 작용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선택적 신호전달 조절제 개발과 설계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약물설계 및 분자모델링 분야 연구에 매진해온 최선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컴퓨터를 이용한 약물 개발에 있어 선도적 기술력을 다시 한 번 증명하고, 신규 물질의 x-선 결정 구조 분석까지 완료함으로써 최적화 약물 개발이 가능한 기반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gpcr agonist-to-antagonist conversion: enabling the design of nucleoside functional switches for the a2a adenosine receptor (doi : 10.1021/acs.jmedchem.2c00462)」는 그 중요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세계적 권위 학술지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s등급; jci 의약화학 분야 1위, 상위 1%) 9월 8일(목) 발간호의 표지논문으로 선정 게재되었으며, 최근 가장 주목받은 논문으로도 선정됐다. 특히 최교수 연구팀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표지논문으로 선정되며 연구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입증했다. [그림 설명] 아데노신 a2a 수용체(a2aar)의 뉴클레오사이드 길항제(antagonist)를 개발함. x-선 결정학 및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새로운 유형의 길항제가 a2aar 작용제의 알려진 특성인 당... -
최태영 교수팀, ‘양자기술협력사업’ 양자컴퓨팅 분야 선정
- 2022-10-12 13:15:03
최태영 교수팀물리학과 최태영 교수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양자기술협력사업 양자컴퓨팅 분야에 최종 선정됐다. 양자기술협력사업 은 양자기술 선도국과의 전략적 국제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양자기술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다. 본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연구팀은 2027년까지 5년간 약 47억 원을 지원받아 미국 듀크 대학과 함께 다중 큐비트 개별 제어를 위한 이온 포획 기반 양자컴퓨팅 국제공동연구 를 수행한다. 이온 포획 기반의 양자시스템은 양자컴퓨팅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플랫폼 중 하나로 해외의 많은 연구 그룹들이 해당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미국 듀크 대학의 quantum center(dqc)는 양자컴퓨터 분야의 세계 최정상 그룹중 하나다. 최태영 교수팀은 듀크 대학의 연구진과 국제협력연구를 통해 최정상급 양자컴퓨터 기술 역량을 국내에 도입하여 국내 양자 컴퓨터 개발에 필수적인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양자컴퓨팅 기술의 국산화 및 관련 산업 활성화를 이루고자 한다. 꿈의 컴퓨팅 이라고 불리는 양자컴퓨팅은 양자역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기존 슈퍼컴퓨터 대비 수백만 배 이상의 계산 성능을 발휘하는 차세대 ict 원천기술이다. 양자 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최소 정보 단위인 큐비트(qubit, quantum bit)는 기존 정보 단위 비트 의 이진법과 달리 0과 1이 겹쳐 있는 상태 , 즉 중첩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상 획기적인 속도로 정보의 병렬처리가 가능하고, 양자얽힘을 활용하여 기존 디지털 컴퓨터가 연산할 수 없는 문제들을 풀 수 있다. 다만, 큐비트는 주위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작동하는 방법이 매우 까다롭다. 이에 따라 본교 연구팀은 가장 성능이 뛰어난 이온 큐비트를 기반으로 다중 이온 큐비트 포획 및 안정화 기술을 확보하여 10개 큐비트급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더불어 △고신뢰도의 양자 조작을 이루기 위한 광학계 기술 개발 △고신뢰도의 양자 얽힘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저 및 고주파... -
‘여성, 기술, 미래’ 주제로 <2022 여성기술창업 포럼> 개최
- 2022-10-04 16:58:41
스타트업 문화에 관심 있는 학생 및 기술기반 예비창업자들을 위해 마이클 펑크 aws 부사장과의 대담, 여성 기업인 창업인의 비전 공유하는 토크콘서트 개최 개최"> 여성, 기술, 미래 를 주제로 한 2022 여성기술창업 포럼 이 9월 29일(목) lg컨벤션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본교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주최하고, 본교 실험실창업혁신단(단장 이형준)이 주관하는 이번 포럼은 한국형 아이코어 사업의 일환으로, 온디맨드(on-demand) 기반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외 다양한 기업들이 창업을 꿈꾸는 이화 재학생들에게 그동안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온 과정과 혁신의 결과들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한국형 아이코어 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미국국립과학재단에서 운영 중인 아이코어(i-corp) 프로그램을 우리 실정에 맞게 벤치마킹하여 2015년부터 추진 중인 혁신 창업교육 프로그램으로, 본교는 지난 작년 5월 본 사업을 주관하는 실험실창업혁신단 여성특화형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온 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 이날 포럼은 이향숙 산학협력단장의 개회사, 김봉수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장의 축사, 신경식 대외부총장의 환영사로 문을 열었으며, 1부에는 마이클 펑크(michael w. punke)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 글로벌 공공정책 담당 부사장과의 대담이, 2부에는 선배 여성 기술창업 기업인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미래기술과 여성창업을 말하다 토크콘서트가 마련됐다.이향숙 산학협력단장 | 김봉수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장 | 신경식 대외부총장 이향숙 산학협력단장은 개회사를 통해 여성의 일자리가 질적으로 향상되고, 기술로 미래를 선도할 수 있는 여성기술창업의 확산은 매우 중요하다 고 강조했으며, 김봉수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장은 앞으로도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은 창업을 위한 우수기술의 발굴부터 기술 스케일업, 제품 서비스의 개발, 시장 진출, 투자 유치 등 전 과정에서 ... -
전자전기공학전공 지창현 교수 연구 논문 세계적 학술지
에 발표 - 2022-09-27 14:20:03
마이크로 액추에이터 제작에 3d 프린팅 기술 적용, 완전자율주행 실형 필수 기술 lidar 상용화 적용 기대'인간중심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지능형 iiot 융복합 인재양성 교육연구단 우수한 연구 성과 이어져 전자전기공학전공 지창현 교수 연구팀이 3d 프린팅을 이용해 전자력 구동 방식의 lidar용 스캐닝 마이크로미러 소자를 개발하고 그 성과를 engineering manufacturing 분야 상위 1% s급 학술지 additive manufacturing(if=11.632) 에 발표했다.엘텍공과대학 bk21사업단 | 지창현 교수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근적외광 및 가시광, 자외선을 사용하여 대상물에 빛을 비추고, 그 반사광을 광 센서를 통해 검출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리모트 센싱 방식으로, 대상물까지의 거리뿐만 아니라, 위치 및 형상까지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자동차의 완전자율주행 실현을 위한 필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지창현 교수팀은 360도 스캔이 가능한 lidar 스캐닝 마이크로미러 소자를 고안하고, 이를 분말소결방식(powder bed fusion) 3d 프린팅 기술인 multi jet fusion을 이용하여 구현했다. 본교팀이 이번에 개발한 소자는 mems 기술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로 제작해온 기존의 스캐닝 마이크로미러를 3d 프린팅으로 구현한 것으로, 그동안 매크로 스케일의 구조물 제작에 주로 사용되어 온 3d 프린팅 기술을 마이크로 액추에이터 제작에 적용한 선구적인 연구 결과이다. 또한 기계식 lidar에 적용되고 있는 모터 기반의 스캔 시스템이나 mems 기술로 제작된 스캐닝 마이크로미러에 대비해 현저히 짧은 제작 시간과 낮은 제작 단가로도 높은 성능을 달성할 수 있어 상용 lidar 시스템 적용이 기대된다.a. 개발된 360도 scanning lidar용 전방향 스캐닝 마이크로미러의 구조, b. multi jet fusion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스캐닝 마이크로미러, ... -
남원우 석좌교수, 제67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 2022-09-19 14:52:12
30여 년간 산소화학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 성과 창출세계적 학술지에 380편 이상의 논문 발표 자연과학대학 화학 나노과학전공 남원우 석좌교수가 제67회 대한민국학술원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9월 16일(금) 대한민국학술원 대회의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장상윤 교육부 차관, 이장무 대한민국학술원장 및 학술원 회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대한민국학술원상 자연과학기초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남원우 교수는 생체 내 산소 활성화에 관여하는 물질(중간체)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생명체가 산소를 활용하는 원리 가운데 지금껏 규명되지 않았던 부분을 밝혀낸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남원우 교수는 지난 30년 간 산소화 효소의 중간체 생성 및 반응성 그리고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효소 모방 연구를 수행하며 산소화학 연구 분야에서 세계 수준의 성과를 창출해왔으며, 현재까지 세계적 학술지인 nature , science , nature chemistry , nature reviews chemistry ,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jacs)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chemical science 를 포함하여 38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2003년부터 현재까지 27년 간 3회 연속 리더연구과제(창의적연구진흥사업)을 수행하며 연구 수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독보적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남원우 교수는 2000년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 , 2007년 경암학술상 , 2015년 한국과학상(대통령상) 을 비롯해 2020년 한국도레이 과학기술상 , 2021년 일본배위화학회의 international award of japan society of coordination chemistry , 2022년 아시아배위화학회의 microtracbel-accc award 등 국내 외의 주요 상을 다수 ...